[김태혁 학생, 민홍기 교수] 자기 광학 전이를 통한 링 형태 선마디 준금속의 세 가지 페르미온 규명 (Physical Review Letters 논문 게재)
SrAs₃는 브릴루앙 영역에 단 하나의 링 형태 선마디(nodal ring)를 가지며, 페르미 준위 근처에 간섭 밴드가 거의 없는 대표적인 선마디 준금속(semimetal)이다. 본 연구에서는 SrAs₃의 자기 반사율(magneto-reflectivity)을 정밀 측정하고, 이에 대한 이론 분석을 통해 링 선마디에서 세 가지 유형의 페르미온이 동시에 나타남을 규명하였다. 자기 반사율에서 나타나는 자기장 세기와 란다우 준위(Landau level) 사이의 지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고전적 페르미온, 디락(Dirac) 페르미온, 그리고 준디락(semi-Dirac) 페르미온이 공존함을 확인하였다. 특히, 준디락 페르미온은 굽은 선마디가 특정 운동량 평면과 접하는 기하학적 조건에서 나타나는 특이한 분산으로, 일반적인 선마디 준금속을 연구한 기존 연구와는 달리 링 형태의 선마디 준금속에서만 나타난다. SrAs₃에서의 란다우 준위의 자기장 의존성은 이상적인 마디선 준금속과 다르게 틸트(tilt)와 스핀-궤도 결합(spin-orbit coupling)으로 인해 간단한 지수관계를 따르지 않기 때문에, 이론적인 모델을 바탕으로 페르미온의 지수관계를 계산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시립대 전지원 학생, 최은집 교수 실험 그룹 등과 공동 연구로 진행되었다.
SrAs₃ hosts a single nodal ring in the Brillouin zone without interference from trivial bands around the Fermi level. Using high-field magneto-reflectivity, we tracked Landau-level transitions and revealed three types of low-energy quasiparticles in the single nodal ring. Based on the model calculations, we analyzed the scaling behavior of the Landau levels for the magnetic field to identify Dirac, semi-Dirac, and classical fermions coexisting in a single material. Semi-Dirac fermions—rarely accessible in ordinary nodal-line systems—emerge here when the curved nodal ring tangentially contacts a momentum plane, producing linear–quadratic dispersion. Because band tilt and spin–orbit coupling in SrAs3 distort the ideal scaling behavior, our model calculations were essential to match each spectral peak to its fermionic origin.
Authors: Jiwon Jeon* (제1저자, 서울시립대), Taehyeok Kim* (제1저자, 서울대), Jiho Jang (서울대), Hoil Kim (POSTECH), Mykhaylo Ozerov (NHMFL), Jun Sung Kim (POSTECH), Hongki Min** (교신, 서울대), and Eunjip Choi** (교신, 서울시립대)
(*co-first authors, **co-corresponding authors)
(*co-first authors, **co-corresponding authors)
Title: Unveiling three types of fermions in a nodal ring topological semimetal through magneto-optical transitions
Journal: Phys. Rev. Lett. 135, 086901 (2025)
Publication date: 19 August 2025
Link: https://doi.org/10.1103/wfzd-7r9n